질문과답변
-
A
1차 산업혁명은 기계2차 산업혁명은 전기3차 산업혁명은 컴퓨터와 인터넷을 통한 산업혁명이라고 보면 간단하게 이해를 할 수 있습니다.
4차 산업혁명은 기계+전기+컴퓨터+인터넷 이 결합된 것으로 보시면 이해가 빠릅니다.
예를 들어서 로봇 이면 기계적인 요소, 컴퓨터, 통신, 전기적 요소가 다 들어 있습니다.자율주행차 도 기계적인 요소 + 컴퓨터(인공지능) + 통신 + 전기적인 요소가 들어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1차와 2차 산업혁명을 놓쳤지만 3차 산업혁명에는 잘 올라탔기 때문에 지금의경쟁력을 잘 살리고 있습니다.마찬가지로 4차 산업혁명 기술개발을 해야지만 국가 경쟁력이 유지될 수 있을 것입니다.
물론 산업혁명의 그늘도 있습니다. 1차산업혁명을 통해 많은 노동력이 해고 되었지요.4차 산업혁명 또한 그런면이 있습니다. 인간 노동력을 감축시키겠지요.따라서 이러한 4차산업혁명을 통한 기술개발, 신산업분야의 인력을 키우는 것이 필요하며(이러한 분야에 약 210만개의 새로운 일자리가 창출)그렇지 못하면 도태될 가능성이 높아졌습니다.( 이로 인해 710만개 일자리가 2020년 까지 사라짐)올해 초등학생 입학하는 어린이중 65%가 현재 존재하지 않는 분야에서 일할 것입니다.빠르게 변화하는 환경에 노동분야를 변화시키는데 투자해야 합니다.
새로운 효율성, 생산성, 비용절감이 일어나고 전체시스템의 전환이 예고됩니다.
종전 미국 등 선진국은 자본집약적 산업으로, 중국 등 개발도상국은 저임금 노동력을 활용해 성장을 꾀했지만
4차 산업혁명이 이같은 성장공식을 근본적으로 바꿔놓을 것입니다.
이런 점에서 4차 산업혁명은 무궁무진한 기회가 될 수 있지만 어떤 면에서는 잠재적인 위협입니다.
4차 산업혁명을 이해하지 못하고 대비하지 않는 기업과 국가는 치열한 생존게임에서 도태될 수밖에 없을 것이지요.
노동시장의 유연성에 실패한 국가는 도태 됩니다.
근로자들이 빠르게 변하는 기술을 습득해야 합니다. 또한 개인간 불평등이 확대될 것입니다.

그림 출처: 매일 경제 -
A
국제관 지하에 사진과 같은 헬스장이 있습니다. 샤워장도 같이 있습니다.
경영대-사회대 2층과국제관 지하에 탁구장 시설이 있습니다. (아래 사진은 국제관 지하 탁구장)
학교에서 공부하다가 편안히 푹신한 쿠션에서 잠을 청하고 싶으면 도서관 7층에 있는 휴식공간으로 오십시오
-
A
경영대 내에는 7층에 스터디 룸이 있습니다. (사진참조)
부민캠퍼스내의 취업지원실에 신청을 하면 사용할 수 있습니다. 빔프로젝트와 컴퓨터도 갖추어져 있습니다.

또한 경영대 4층에는 경영대 행정실에서 관리하는 학습실이 있습니다. 경영대 행정실에서 사용신청을 할 수 있습니다.

부민도서관 8,9,10 층에는 바다를 바라보며 공부할 수 있는 스터디룸이 많이 있습니다.거의 사용을 안하고 있을 정도로 비어있는데요. 많은 사용바랍니다.

그외 많은 스터디 테이블이 있습니다. 국제관 지하, 경영대 2층 실내외에 다양한 형태의테이블들이 있어 마음껏 활용할 수 있습니다.





-
A교과과정 메뉴안의 학년별/트랙별 교과과정 안내 파일에 보시듯이
1학년때는 교양과 함께 경영학원론, 회계원리, 경영통계학, 컴퓨터개론을 공부해야 합니다.
여기에 경제학원론(국제무역학과 개설), 무역학개론(국제무역학과 개설), 금융학개론(금융학과 개설) 등을 균형교양으로 추가로 선택하면 좋습니다.
과거에는 전산개론(컴퓨터개론, 정보처리개론)이 필수로 있었으나
지금은 경영정보학과에서만 컴퓨터개론에 해당하는 "컴퓨터구조와 운영체제" 라는 과목이 있습니다( 컴퓨터개론으로 명칭 변경예정).
다시 요약하면
경영학원론, 회계원리, 경영통계학, 컴퓨터개론(컴퓨터구조와 운영체제) 을 수강하여 기초를 다집니다.
이런 바탕위에 경영학 일반 과목인 마케팅원론, 재무회계, 생산 및 운영관리 (2학년)
관리회계, 경영조직론(3학년)
재무관리(4학년)
을 수강합니다. 이 6개 과목은 경영학 의 핵심으로서 어느 하나도 빠져서는 안됩니다.
경영정보 일반 과목들에 해당하는 것은 MIS원론, e비즈니스, 빅데이터와 경영전략 (2학년)
시스템분석및 설계, MIS, ERP, 데이터베이스시스템, 정보통신, 최신정보기술 (3학년)
ERP실무, 기술경영, 경영지원시스템. MIS세미나 (4학년) 입니다.
이 과목들도 경영정보 일반 과목으로 반드시 들어야 할 것입니다.
여기서 더 나아가 이제 다양한 트랙으로 나누어 집니다.
과학적 의사결정 기법을 위해서는 경영과학(2학년), 의사결정론, 시뮬레이션(3학년) 을 수강할 수 있습니다.
자료분석과 빅데이터 분석을 위해서는 통계방법론, 경영데이터분석(2학년), 자료분석론, 빅데이터분석(3학년), 빅데이터프로젝트, e-CRM과
데이터마이닝, 빅데이터와 시각화(4학년)을 수강할 수 있습니다.
소프트웨어 개발 을 위해서는 프로그래밍언어1(1학년), 웹 사이트 기획 및 디자인, 웹프로그래밍, 프로그래밍 언어 2 (2학년),
데이터베이스시스템구축, MIS개발 프로젝트(3학년)을 수강합니다.
만약 창업과 전자상거래에 관심이 있으면 전자상거래 시스템 구축(3학년), 벤처창업(4학년) 이 있습니다.
표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기초 전공 과목 컴퓨터개론(컴퓨터구조와 운영체제) 경영 일반 과목 경영학원론,마케팅원론, 회계원리,재무회계, 생산 및 운영관리, 관리회계, 경영조직론, 재무관리 경영정보(MIS) 일반 과목 MIS원론, e비즈니스, 빅데이터와 경영전략, 시스템분석및 설계, MIS, ERP, 데이터베이스시스템,
정보통신, 최신정보기술, ERP실무, 기술경영, 경영지원시스템. MIS세미나각 하위 트랙 과목은
과학적 의사결정 경영과학, 의사결정론, 시뮬레이션 자료분석과 빅데이터 분석 경영통계학, 통계방법론, 경영데이터분석, 자료분석론, 빅데이터분석, 빅데이터프로젝트, e-CRM과 데이터마이닝, 빅데이터와 시각화 웹 및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그래밍언어1, 웹 사이트 기획 및 디자인, 웹프로그래밍, 프로그래밍언어 2,
데이터베이스시스템구축, MIS개발 프로젝트전자상거래와 창업 전자상거래시스템구축, 벤처창업 그외 금융, 물류, 유통, 관광, 광고, 투자 등에 관련하여서는 경영정보학과에서 개설은 하지 않았으나 경영대 내에서 자유선택으로 타과에서
수강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국제무역학과의 무역상무론, 국제물류운송론 은 각각 무역과 물류에 대한 해당 지식을 넓힐 수 있고
경영학과 금융학과 등에서의 투자론은 금융투자에 대한 지식을 알려줄 수 있습니다.
금융학과의 매크로마케팅 과목은 유통에 대한 지식을 알려 줍니다.
경영정보학과의 인재상은 다음과 같이 나뉘어 집니다.
1. 경영학을 잘알고 컴퓨터를 능숙하게 다룰 수 있는 인재. 예를 들어 Excel, Powerpoint, HTML, 웹, 포토샵 등을 다룰 줄 알면서 경영학을 이수한
인재입니다. 모든 공기업,대기업,중소기업에 갈 수 있습니다.
2. 경영학을 잘 알고 의사결정기법과 경영자료분석을 잘 아는 인재입니다. 기업에 들어가서 중요한 능력이 됩니다.
3. ERP 를 잘 아는 인재. 경영전반 프로세스를 잘 알고 ( 자재, 회계, 판매 등) 이를 전사적자원관리시스템(ERP)로 구축과 컨설팅을 할 수 있는
인재 입니다. ERP 관련 컨설팅 회사에 진출할 수 있습니다.
4. e비즈니스를 잘 알고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을 잘 하는 인재. 웹, JAVA프로그래밍을 잘 하여 e비즈니스 회사, 소프트웨어 회사로
진출할 수 있습니다,
그외 인성, 어학, 관리자 능력, 기업가 정신을 고취하는 교양과목과 각종 비교과 활동(동아리 활동, 교내 창업지원단, 취업지원실 프로그램, 언어교육원
프로그램 등)을 통해서 길러집니다.
경영정보학과의 진출분야에 대한 기본 마인드는
의사결정기법과 자료분석, 그리고 경영과 소프트웨어 기술을 익힌다면 그 바탕위에 대부분의 분야에 진출,도전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그것이 은행이든, 보험회사든, 제조회사, 전자상거래회사, 물류회사, 유통회사 든 해당 분야에 대한 도전이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전체적인 로드맵을 그리면
1학년 어학과 인성, 다양한 교양과 세계관을 익히고 기초 능력을 다진다 (통계, 컴퓨터, 경영) 2학년 전공의 기본을 갖추고 다양한 트랙을 맛본다. 비교과 활동을 통해 능력을 기른다 3학년 구체적 트랙을 이수하고 실제 기업체 인턴을 통해 해당 분야를 익힌다. (기업체는 은행, 물류, e비즈니스, 어떤 분야도 가하다) 4학년 모자라는 역량 부분을 보충하고 자신만의 강점을 구체적으로 나타낼 수 있도록 준비하고 구체적인 대상 기업의 특성과 전망을 분석하여진출희망 기업에 촛점을 맞추어 나간다 필요한 인성은 협상력, 표현력, 팀웤, 책임감, 성실함, 열정과 도전정신입니다.
-
A
아닙니다. 사실 대학에서 듣는 교양,전공 과목은 모두 불과 130학점입니다.
따라서 교과목으로 얻을 수 없는 많은 부분이 비교과활동을 통해 얻어집니다.
대표적인것이 스터디 그룹(동아리) 입니다. 또한 각종 교내 기관에서 제공하는 프로그램입니다.
교내에는 백여개 이상의 비교과 프로그램이 있습니다.
간단히 표로 나타내면 아래와 같습니다. 그외 경영대학 프로그램, CORE 사업단 프로그램, 학과 프로그램 등 다양한 비교과 활동(프로그램)
이 있으니 반드시 이를 잘 이용하여 능력을 갖추기를 바랍니다.
능력은 교실안에서만 하는 교과활동 뿐만 아니라 교실 밖에서 하는 비교과 활동을 같이 동반함으로 갖추게 됩니다.
아래 각종 프로그램에 대해서는 해당 부서 홈페이지나 방문, 게시판, 포스터, 현수막등을 통해서 언제나 발견할 수 있습니다.
담당 부서
프로그램 들
국제교류과 해외봉사, 해외 인턴쉽, 해외 어학연수, 자매대학단기교류프로그램 등 취업지원실 취업동아리(리더스클럽), 직장체험, 인턴쉽, 직무적성검사, 취업캠프, 모의면접,
자격증 실무교육, 재직선배초청특강, 채용박람회, 공모전
언어교육원 스파르타 토익특강, 외국어 정규강좌, 영어 대회, 글로벌 멘토링 여대생커리어개발센터 모의면접 및 입사서류컨설팅, 진로상담, 취업동아리 등 도서관 베스트 서평 쓰기, 리빙 라이브러리, 저자초청특강, 학술정보 활용능력 프로그램 창업교육센터 창업교육 아카데미, 창업캠프, 창업동아리 육성 발굴 LINC사업단 채용확정형 프로그램 (창조인재 교육), 기업탐방, DA-LINC아카데미, 기업체 임직원 초청특강
현장실습지원센터 캡스톤 디자인 경진대회, 학생특허출원, 해외인턴, 현장실습 공자아카데미 대학생 중국문화 탐방, 중국어 특강 학생복지과 농촌봉사, 재능기부봉사단, 해외봉사활동, 청소년교육지원사업 입학사정관실 새내기 레벨업, 글로벌 역량강화, 글로벌 상상 캠프 교수학습개발센터 동아 튜터링, 동아 스터디, Jump-Up 기초학력강화프로그램, 대학생 토론대회, 글쓰기 클리닉,
학습동기유발 프로그램
학습상담센터 인성강화프로그램, 질로탐색프로그램, 학습전략강화프로그램, 집단상담 창업지원단 창업동아리 발굴, 창업서비스 지원, 창업경진대회, 창업캠프 -
A
취업은 정보전쟁이라고도 할 수 있겠지요.그러한 면에서 우리대학 취업지원실과 홈페이지는 많은 정보를 주고 있습니다.
그러나 가장 중요한 것은 취업지원실 선생님과 친하게 지내는 것입니다.선배나, 교수님들 보다도 취업안내와 관련하여서는 취업지원실에 한번 찾아가 보십시오.그것이 가장 빠른 길입니다.그러면 많은 정보와 안내를 받을 수 있습니다.
취업지원실은 그외 다양한 프로그램을 가지고 있어서 그중 어느 하나만이라도 꼭신청해 보십시오.
(취업정보실은 승학과 부민에 있습니다) -
A
SAP ERP 나 JAVA, 그리고 빅데이터는
많은 시간이 드는 기술입니다.
그런데 학과수업만 가지고는 부족한 것은 사실이지요.
그래서 LINC사업단의 예산을 들여 이러한 것을 무료로 수강할 수 있게 하는
창조인재 ICT교육 프로그램을 경영정보학과에서 운영하고 있습니다.
기업체에서 직접 나와 강의와 실습을 가르치고 이수하면 총장자격증과 함께 각종
경시(공모전), 기업탐방, 기업체 특강, 자격증 취득 그리고 취업까지
일관되게 교육하는 프로그램입니다.
첨부된 안내 파일을 참고하시고
계속 홈페이지, 포스터 등으로 안내하는 창조인재 ICT JAVA, ERP, 빅데이터 교육을 놓치지 마세요.
-
A
영어는 이젠 English 가 아니라 Globlish 입니다. 즉 세계공통어이지요.그만큼 보편적인 의사소통의 수단입니다.
영어를 할 줄 알면 꼭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영어권 나라는 물론 중국에까지 취업진출을 하기 매우 용이합니다.
나라별 맞춤 취업전략: 미국, 일본 IT 전문직 환영
http://news.chosun.com/misaeng/site/data/html_dir/2016/08/24/2016082400297.html
따라서 영어는 일찍 시작하면 시작할 수록 좋습니다.
토익 500점대를 1학년때 확보하면 2,3학년 전공과 4학년 취업준비때 훨씬 자신감을 가질 수 있습니다.
지금이라도 늦지 않았으니 영어를 매일 꾸준히 공부하십시오.
많은 학생들이 방학동안에 하루 8시간 씩 40일 정도 공부하면 790~ 810 대 까지 바로 올라간다고 합니다.
이러한 시간은 2학년 여름방학이나 겨울방학때가 좋겠지요.
도서관 7층열람실에는 DVD등 각종 어학 자료가 있고 앱에서도 그런 자료를 구할 수 있습니다.
영어로만 하는 국제관 1층의 글로벌 존을 사용하고 언어교육원의 스파르타 토익강좌등 교내 프로그램을 적극 활용하세요
그냥 한국말 하듯이 매일 30분 동안은 영어로만 듣고 영어로만 말하자라고 생각하십시오.
(사진: 국제관 1층에 있는 팬코 글로벌 존)
